치과 진료

사랑니 발치 후 통증이 1주일 이상 지속되면 위험 신호일까?

sophi0510 2025. 6. 27. 12:09

"하루 이틀이면 괜찮아진다던데… 왜 나는 아직도 아플까?"
7일이 지났는데도 통증이 그대로거나 더 심해졌다면, 이제는 꼭 확인해 봐야 할 때입니다.”

 


사랑니 발치를 처음 겪은 사람이라면, 그 통증의 강도를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금방 괜찮아지는 사람도 있지만, 어떤 사람은 며칠간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아프기도 합니다. 특히 통증이 발치 후 7일이 지나도록 계속된다면, ‘이건 정말 정상인가?’ 하는 고민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사랑니 발치 후 통증으로 냉찜질 하는 모습

 

일반적으로 사랑니를 뽑고 나면 마취가 풀리는 시점부터 본격적인 통증이 시작됩니다.
사랑니가 잇몸 안에 깊이 묻혀 있었거나, 뼈를 깎아낸 경우라면 통증은 더 강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통증에도 흐름이 있습니다. 발치 직후부터 3일 차까지 붓기와 함께 통증이 심해지는 시기입니다. 4일 차 이후로 통증이 점차 줄어들고, 진통제 복용 횟수가 줄어드는 시기이며 7일 차에는 거의 통증이 없어지거나, 일상에 지장 없는 수준으로 회복

따라서 1주일이 지나도 통증이 그대로거나 오히려 더 심해지고 있다면, 이는 정상적인 회복 범위를 벗어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순히 회복이 느린 것이 아니라,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실제로 치과 진료 현장에서도 발치 후 5~7일 차에 다시 내원하는 환자들 중 대부분은 ‘드라이 소켓’ 또는 ‘감염’으로 진단을 받습니다.

통증은 몸이 보내는 명확한 메시지입니다. 무작정 참거나 기다리기보다는, 현재의 통증이 ‘계속 아프지만 좋아지고 있는 통증’인지, 아니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는 통증’인지를 구별해야 합니다.

 

통증이 줄지 않는다면 이상 신호! 회복 흐름과 비교해 보세요

 

사랑니 발치 후 통증은 대부분 다음과 같은 단계로 완화됩니다.
이 흐름을 기준으로, 현재 내 통증 상태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날짜에 따라 발치 당일날은 마취가 풀리면서 통증이 시작됩니다. 1~3일 차에 통증과 부기가 절정을 이루고 이때 냉찜질을 잘해야 합니다. 4~5일 차에 통증이 점점 완화되기 시작하고 붓기는 줄어듭니다. 이때 온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6~7일 차가 되면 대부분의 통증이 사라지고 실밥 제거가 가능하며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합니다.

이처럼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약해지는 게 정상입니다.

하지만 7일이 지나도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으면 버티기 어렵거나, 오히려 통증이 더 심해지는 양상이라면 이는 분명 이상 징후입니다. 통증이 한결같이 지속되며 감소하는 경향이 없거나, 통증이 오히려 심해졌고, 이전보다 더 쿡쿡 쑤시는 경우, 진통제를 먹어도 효과가 없을 정도로 아프며 통증 외에 입냄새, 고름, 열감, 붓기 재발이 동반되는 경우.

이런 경우는 대부분 단순 회복 통이 아닌, 감염이나 드라이 소켓 등의 이상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요한 건 ‘1주일’이라는 기준입니다. 이 시점을 지나도록 통증이 줄지 않았다면 더 이상 지켜보지 말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통증이 오래가는 5가지 의심 원인 

사랑니 발치 후 통증이 1주 이상 지속된다면, 아래 5가지 원인을 의심해야 합니다. 

 1. 드라이 소켓 (Dry Socket)

가장 흔하면서도 가장 고통스러운 합병증입니다.
혈병이 형성되지 않거나, 이미 생긴 혈병이 침 뱉기, 가글, 흡연 등의 행동으로 탈락하면서 뼈가 노출되는 상태입니다.

통증이 3~5일 차부터 오히려 더 심해지고 찌르는 듯한 깊은 통증이 귀, 관자놀이까지 퍼집니다. 진통제 복용 효과가 거의 없고,

입냄새가 심하고, 흰색 잇몸 노출 부위가 보입니다. 이런 증상에 해당된다면 즉시 치과에 방문해야 하며, 소독 및 지혈제 삽입 치료가 필요합니다.

  2. 발치 부위 감염

치유 과정에서 세균이 상처 안으로 침투한 경우입니다. 증상으로는 잇몸에서 고름 같은 액체가 나오며, 잇몸이 단단해지고, 붓기가 재발합니다. 냄새가 강하고 열감이 있으며, 미열이 날 수도 있습니다. 감염은 자연 치유되지 않으며, 항생제 투여와 상처 소독이 필요합니다.

3. 실밥 문제 (조기 이탈 or 실밥이 잇몸 찌를 때)

봉합 실이 느슨하거나, 잇몸을 찌르면서 계속 자극을 주는 경우 통증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증상으로는 실밥 부근이 간지럽거나 찌릿한 느낌이 들거나 실밥이 떨어졌거나 느슨하게 흔들리는 느낌이 듭니다. 이 경우 실밥 제거 전 재 내원하여 간단하게 실 조정만 해도 통증이 즉시 완화됩니다.

4. 잔존 치근 또는 이물질

사랑니 뿌리 일부가 남거나, 발치 도중 깨진 치아 조각이 잇몸 안에 남아 있을 경우 통증이 계속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 발치 부위 내부에 이물감이나 단단한 물질이 만져지고, 물거나 씹을 때마다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 X-ray 촬영 후 잔존물 제거하면 해결됩니다.

 5. 신경 손상 또는 자극

하악 사랑니 발치 시, 하치조신경과 매우 가까운 경우, 신경에 자극이 가해지면 장기적인 통증과 감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과 함께 입술, 턱, 혀에 감각이 무딘 느낌, 혹은 저리거나, 따끔거리며 찌릿한 통증 이 경우는 회복에 수 주가 걸릴 수 있으며, 조기 내원이 중요합니다.

 

병원에 가야 할 기준 & 통증 자가 체크리스트 

이제 내가 병원에 다시 가야 할지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다음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를 통해, 지금 내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 보세요.

   통증 지속 자가 점검 체크리스트

  • □ 발치 후 7일 이상 통증이 지속된다
  • 진통제를 먹어도 효과가 없다
  • □ 통증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
  • □ 입 안에서 불쾌한 냄새가 난다
  • 고름, 분비물, 노란 막이 보인다
  • 입 벌리기, 말하기, 음식 씹기가 아직도 어렵다
  • □ 혀, 입술, 턱 주변에 감각 이상이 느껴진다
  • □ 실밥 부위가 찌르거나 느슨하게 흔들린다
  • □ 통증 때문에 수면이 어렵고, 식사를 피하게 된다

위 설문에 2개 이상 해당된다면 병원 내원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치과 내원 시 준비 사항으로 통증 양상 설명 (언제부터, 얼마나 아픈지)이 가능해야 하며, 복용 중인 진통제 종류와 빈도, 입 안에 변화된 증상(붓기, 고름 등) 사진 첨부가 가능하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실밥 풀림 여부와 감각 이상 여부 체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면 불필요한 검사나 재봉합 없이 빠른 진단이 가능합니다.  주저하지 마시고, 전문의에게 내 상태를 알려 회복을 앞당기세요.

 

이 글을 마무리하며..사랑니 발치 후 통증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완화되어야 합니다.
보통 3~5일 차에 통증이 가장 심하며, 7일 차에는 거의 사라지는 것이 정상 경과입니다.

그러나 1주일 이상 통증이 지속되거나, 오히려 심해지고 있다면
이는 단순한 회복통이 아닌 드라이 소켓, 감염, 실밥 문제, 신경 자극 등 의학적 조치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참지 않는 것입니다.
빠른 진단은 회복 속도를 단축시킵니다.
조금이라도 이상하다면, 그건 당신의 몸이 보내는 ‘조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